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울대 로스쿨 면접 연습 문제 (20241025) ※ 2024년 오전 면접 기출
    로스쿨 면접 연습 자료/서울대 로스쿨 2024. 11. 9. 09:24

    다음 제시문을 읽고, 시험장에 입실 후 면접관의 질문에 답하시오

    <제시문 1> 
    가족 내에 순수한 공간은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 관심에 기초해야 한다. 그러한 관심에는 두 종류가 있다. 첫째는 형상에 기초한 관심인데, 이는 반드시 행동과 태도에 대한 이야기를 수반하며 평가를 요구한다. 이 관심은 중요한 차원의 것이 결여된 것이고, '순수한 시간'은 완전히 가려진다. 아이에게 "숙제했니?", "방이 더러우니까 치워라" 등이 그 사례이다. 둘째는 형상을 초월한 관심이다. 이는 아이의 존재 자체에 집중하는 관심이다. 형상을 초월한 관심은 '순수한 시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부모는 아이를 인간으로 대할 뿐만 아니라 존재로도 대해야 한다. 결국 우리는 인간(형상에 기초한 관심)과 존재(형상을 초월한 관심)의 균형을 찾아야 진정한 사랑이 가능하다.
     
    <제시문 2>
    멀티태스킹은 원래 생존에 대한 위협이 상존하던 수렵사회의 동물들이 생존과 번식을 위해 수많은 행위들에 복합적인 관심을 기울였던 행동패턴이다. 당연하게도 이 시기 사람들은 깊은 사고를 하거나 한 가지 일을 진득하게 처리하지 못했다. 이러한 행동패턴을 현대사회의 인간이 닮아가고 있는데, 멀티태스킹이 효율성을 올린다는 통념 때문이다. 현대인들은 좋은 삶보다 생존을 목적으로 여기게 되었고, 깊은 심심함을 견디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창조성에 기여하는 사색이 필요하다.
     
    <제시문 3>
    우리는 통념상, 보상을 주면 창조성이 올라간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심리학 실험에 의하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62년 심리학자들은 외부 자극이 어떻게 개인의 창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고자 실험을 기획했다. 이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에게 해결에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 가벼운 과업이나, 해결을 위해서는 약간의 창조적 발상이 필요한 과업을 부여했다. 그리고 실험군을성과 해결에 따른 보상'을 예고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 결과 예고된 보상'율 고지 받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과업수행을 위해 평균 3~4분 정도의 시간이 더 소요되었음이 나타났다. '예고된 보상'이 인간 창조성의 발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 결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영학계에서는 개인의 창의성에 외부 보상을 주는 것을 절대적인 명제로 여기고 현실의 기업들은 실험 결과와 반대되는 기존 통념에 따라 기업을 관리한다.
     
    <제시문 4>
    자연관은 오랜 논쟁거리였다. 자연을 인간중심적인 입장에서 바라보며 자원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있는 한편, 생태중심적인 입장에서 자연 그 자체의 존재에서 의미를 찾는 입장 또한 존재한다.
    수려한 자연환경을 지닌 국가인 에콰도르는 2008년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인간중심적 세계관에서 생태중심적 세계관으로의 변화 내용을 자국의 헌법에 포함시켰다. 에콰도르 헌법은 독립된 장으로 자연의 권리를 규정한다. 생명이 재창조되고 존재하는 곳인 자연 또는 파차마마(Pachamama)는 존재와 생명의 순환과 구조, 기능 및 진화 과정을 유지하고 재생을 존중받을 불가결할 권리를 인정받는다. 파차마마는 안데스 원주민들에게 신앙의 대상인 영적 존재로 어머니 대지로 번역된다.
    l  에콰도르 헌법 71: 자연은 존재로서 그 가치를 지닌다.
    l  에콰도르 헌법 72: 자연환경이 침해된 경우 그 침해된 자연에 의지해 살아가는 개인과
                                       
    공동체에 대한 보상의무와는 별도로 자연 자체도 원상회복될 권리를
                                       
    갖는다. 

    그러나 헌법 조문의 존재와는 별개로, 현실적으로는 자연 자원 채취 등 원주민의 건강과 자연이 파괴되고 있다는 점에서 에콰도르에서 자연은 헌법에 명시된 취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

     

     

    [질문 예시]

    A학생 질문

    Q1. 제시문의 공통적인 주제를 설명하시오.

    Q2. <제시문 1>의 부모-자식처럼 사랑에 기초한 관계 외에 형상에 기반한, 초월한 관심이 존재하는 관계의 사례가 있는가? 

    Q3. <제시문 1>의 필자는 <시문 2>에 대해 어떻게 평가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Q4. <제시문 3>의 필자는 경영 영역에서 인센티브 지급의 문제를 지적하는데 이에 동의하는가? 

    Q5. <제시문 1>에 기반하여 <제시문 4>를 설명하시오.

     

    B학생 질문

    Q1. 제시문 각각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시오.

    Q2. 기업의 인센티브 제도에 대해 <제시문 1> <제시문 3>의 화자는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Q3.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왜 인센티브를 사용할까?

    Q4. <제시문 4>의 에콰도르 헌법에서 어느 부분이 구체적으로 문화적 전환으로 보이는가?

    Q5. <제시문 3>의 실험에 동의하는가? 오류가 있다면 어느 부분이 오류인가?

    Q6. <제시문 4>에서 에콰도르의 현실과 헌법의 이상이 괴리가 있는데 헌법이 무슨 의미가 있나?

    Q7. 지원자는 <제시문 2>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Q8. 우리는 멀티태스킹을 하면서 살아갈 수밖에 없지 않은가? 지원자도 학부 때 쌓인 공부를 막 해치우듯이 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Q9. 내가 본 법률가들은 멀티태스킹을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하나의 사건을 사색하면 뒤에 수임한 사건들을 맡긴 사람들은 피해를 보지 않을까?

    Q10. 본인이 말한 의미의 사백이 <제시문 2>에서 말하는 사색과 동일한지 설명하시오.

     

    C학생 질문

    Q1. 제시문의 공통적인 주제를 설명하시오.

    Q 2. <제시문 1>의 부모-자식처럼 사랑에 기초한 관계 외에 형상에 기반한, 초월한 관심이 존재하는 관계의 사례가 있는가? 

    Q3. <제시문 2>에 나타난 좋은 삶의 사례를 현실에서 찾아보면? 

    Q4. <제시문 3>의 실험결과를 오늘날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Q5. 보상은 좋은 것 아닌가? 

    Q6. <제시문 1>의 필자는 금전적 인센티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Q7. <제시문 1>의 필자가 금전적 인센티브를 반대한다면 <제시문 3>의 필자와 입장이 같은 것인가?

    Q8. 자연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음을 고려하면 <제시문 4>의 에콰도르 헌법은 미사여구에 불과한 것 아닌가?

     

     

     

    [답변예시]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