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세대 로스쿨 면접 연습 문제 (20241013) ※2021년 기출로스쿨 면접 연습 자료/연세대 로스쿨 2024. 11. 7. 20:00
※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제에 답하시오.
(가) 사회를 운영하는 방식에 대해 2가지 관점이 있다.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는 자들은 개인이 잠재력을 발휘해 개인이 자아실현을 하면 사회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반면 사회질서를 옹호하는 측에서는, 자아실현을 하기 위해 필요한 안정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규칙과 규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나) 오늘날 현존하는 여러 사회를 보면 그 구성원들이 ‘나’를 강조하는지 ‘우리’를 강조하는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나'를 강조하는 사회는 구성원들의 개성과 자유를 중 시하며, 국가가 그 구성원들의 삶에 개입하는 것을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개인이 가지는 개성, 권리와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반면 다른 사회구성원과의 유대감과 동질 감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반대로 '우리’를 강조하는 사회는, 개개인이 가진 고유의 색깔보다 사회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중시한다. 이들은 다른 사회구성원들과 공유하는 가치와 문화를 뚜렷이 인식하고, 소속 집단에 대한 정체성이 명확하다.
(다) 오늘날의 사회공동체는 문화적으로 느슨한 지 빡빡한 지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문 화적으로 느슨한 사회는,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문화나 전통에 반하는 개개인의 행동에 대해 너그럽다. 이들 사회에서는 주류문화에 반하는 많은 하위문화들이 주류문화와 함께 공존하고 있으며, 주류문화에 대한 반대가 사회적 제재로 이어지지 않는다. 반면 문화적으로 빡빡한 사회는, 다수가 공유하는 주류 문화와 전통이 주를 이루며 이에 대한 일탈은 용납되지 않는다. 사회 다수의 반감을 사는 행위는 곧바로 사회적 일탈로 간주되며, 이에 대한 다른 사회구성원들의 비난이나 각종 제재가 뒤따른다.
<그림 1>
<그림 2>
<표>
Q1. <그림1>과 <그림2>를 보고 빡빡한 개인주의, 빡빡한 집단주의, 느슨한 개인주의, 느슨한 집단주의 국가의 예시를 찾고, 그 국가들이 그런 사회 운영 방식을 갖게 된 배경을 설명해보시오.
Q2. <표>를 보고 문화적으로 빡빡함과 느슨함,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와 코로나19 확진자 수 간의 연관성을 설명하고, 그 이유를 설명해보시오.
Q3.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방역 정책에서 휴대폰을 이용하여 확진자의 동선을 파악하는 방법이 옳은 지 제시문을 이용하여 논증해보시오.
[추가 질문 예시]
Q4. 뉴질랜드의 경우 확진자 수가 굉장히 적은데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Q5. 혹시 한국이 개인정보를 이용해서 코로나19 확산을 막고 있는데 대해서 지원자가 느끼기에 지나치다고 느끼는 면은 없는가?
[답변예시]
Q1. <그림 1>과 <그림 2>를 보고 빡빡한 개인주의, 빡빡한 집단주의, 느슨한 개인주의, 느슨한 집단주의 국가의 예시를 찾고, 그 국가들이 그런 사회 운영 방식을 갖게 된 배경을 설명해보시오.
- 빡빡한 개인주의: 미국과 같이 개인주의 지수가 높고 사회적으로 빡빡한 규칙을 가진 국가입니다. 미국은 자유를 강조하면서도 법과 규칙을 통해 개인의 행동에 대한 엄격한 제재가 있습니다. 미국의 이러한 문화는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발전에서 비롯되었으며,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엄격한 법치주의가 뿌리내렸습니다.
- 빡빡한 집단주의: 한국과 일본처럼 개인주의 지수가 낮고 사회적 규칙이 빡빡한 국가입니다. 한국과 일본은 집단의 질서와 조화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유교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러한 전통이 현대에까지 이어지면서 집단의 이익을 위해 개인의 행동이 제약되는 경향이 강합니다.
- 느슨한 개인주의: 핀란드와 스웨덴은 개인주의 지수가 높으면서도 사회적으로 느슨한 규제를 가진 국가로 볼 수 있습니다. 이들 국가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매우 중요시하지만, 사회 규범에 대한 제재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북유럽 국가들의 이러한 특성은 오랜 사회 복지 시스템과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는 민주주의 전통에서 기인합니다.
- 느슨한 집단주의: 중국은 집단주의 지수가 높으면서도 비교적 규제가 느슨한 국가로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은 공산주의 체제하에서 집단의 이익을 중시하지만, 다양한 지역과 하위문화가 공존하며 중앙 정부의 통제는 존재하나 실제로는 다양한 문화적 규제가 느슨하게 적용됩니다.
Q2. <표>를 보고 문화적으로 빡빡함과 느슨함,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와 코로나19 확진자 수 간의 연관성을 설명하고, 그 이유를 설명해보시오.
- 문화적 빡빡함과 확진자 수: 빡빡한 사회는 규칙과 규제를 엄격하게 적용하기 때문에 초기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는 데 유리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과 일본은 초기 방역 정책에서 강력한 규제를 통해 확진자 수를 비교적 낮게 유지했습니다.
- 문화적 느슨함과 확진자 수: 반면, 느슨한 사회는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면서도 규제에 대한 저항이 강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과 영국처럼 개인주의가 강한 사회에서는 마스크 착용이나 이동 제한과 같은 규제를 두고 논란이 많았으며, 이러한 갈등이 확진자 수 증가로 이어졌을 수 있습니다.
-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집단주의 사회는 개인의 이익보다 집단의 안전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방역 조치에 대한 사회적 협조가 원활했습니다. 한국과 일본은 비교적 확진자 수가 낮은데, 이는 국민들이 집단의 안전을 위해 방역 수칙을 잘 준수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반면, 개인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 방역 조치에 대한 저항이 컸을 수 있으며, 이것이 확진자 수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Q3.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방역 정책에서 휴대폰을 이용하여 확진자의 동선을 파악하는 방법이 옳은 지 제시문을 이용하여 논증해보시오.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방역 정책에서 휴대폰을 이용하여 확진자의 동선을 파악하는 방법은 효과적일 수 있지만, 개인의 자유와 사회 질서 간의 균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제시문 (가)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개인의 자유를 중요시하는 입장에서는 이러한 방법이 개인의 권리 침해로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 제시문 (나)와 (다)에서 강조된 사회적 질서와 공동체의 이익을 중요시하는 입장에서는 이러한 방침이 집단의 안전을 보장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과 같은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사회에서는 공동체의 안전을 위해 개인의 사생활을 일부 제한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확진자의 동선을 파악하는 것은 방역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개인의 사생활 보호와 관련된 논의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추가 질문 답변예시]
Q4. 뉴질랜드의 경우 확진자 수가 굉장히 적은데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뉴질랜드의 확진자 수가 적은 이유는 지리적 고립성, 초기 강력한 방역 조치, 그리고 정부와 국민 간의 신뢰 높은 협조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입니다. 뉴질랜드는 섬나라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유리했으며, 봉쇄와 같은 적극적인 방역 조치를 취한 것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국민들이 정부의 지침에 협력한 것도 확진자 수 억제에 기여했을 것입니다.
Q5. 혹시 한국이 개인정보를 이용해서 코로나19 확산을 막고 있는데 대해서 지원자가 느끼기에 지나치다고 느끼는 면은 없는가?
한국의 방역 정책에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확진자의 동선을 추적하는 방법은 방역의 효율성을 높였지만, 개인의 사생활 보호 문제에서 지나치게 간섭적인 면이 있을 수 있다고 느낍니다. 개인의 사생활은 중요한 권리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방역 목적이라 하더라도 이러한 권리가 침해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개인정보를 활용하더라도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사생활 침해 우려를 줄이고 개인의 자유와 방역 효율성 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로스쿨 면접 연습 자료 > 연세대 로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세대 로스쿨 면접 연습 문제 (20241018) (3) 2024.11.08 연세대 로스쿨 면접 연습 문제 (20241016) (11) 2024.11.08 연세대 로스쿨 면접 연습 문제 (20241012) (12) 2024.11.07 연세대 로스쿨 면접 연습 문제 (20241011) (10) 2024.11.07 연세대 로스쿨 면접 연습 문제 (20241010) (5) 2024.11.07